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요인관련 전향적 출생 코호트연구의 현황과 과제

전문가 제언
○ PCB나 다이옥신류(PCDD: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같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은 강한 독성과 환경 중에서 잘 분해되지 않고 먹이사슬을 통해서 생체 내 축적 및 세대 간에 이동하는 특성이 있어서 스톡홀름 국제협약으로 통제한다.

○ 이들 환경화학물질의 위험성에 대해서 세대 간 이전현상, 특히 임산부의 일상적인 노출에서 출생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코호트 연구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계속하고 있다.

○ 그러나 어린이의 건강영향에 대해서는 환경요인 외에도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환경요인만 가지고 건강영향을 추적하려면 전향적인 출생 코호트 연구가 필수적이다.

○ 이 글은 일본에서 대규모 출생 코호트 연구를 통해서 북해도 지역의 화학물질 노출에 대한 임산부와 어린이의 건강영향에 대한 장기간 추적 연구를 소개하고 운영상 과제도 제시한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부터 한국인유전체 코호트 조사사업을 대규모로 진행하여 2012년까지 완료할 예정인데, 이렇게 장기간 대규모로 진행하는 코호트 연구는 연구지원의 지속성이 매우 중요하다.

○ 이 외에도 노출변수의 측정에서 측정오차의 영향이 크므로 보정방법을 개발해야 하고, 국제적인 코호트 연구협조가 필요하고, 광범위한 의사소통도 필요하다. 더욱이 개인의 유전체정보를 취급하는 만큼 그로 인한 피해범위는 상상이 안 될 정도로 클 것으로 보이므로 개인의 정보보호를 위해서 보안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저자
Tomoyuki YUASA and Reiko KI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64(4)
잡지명
日本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74~781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