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정 미세조류의 오염물질 제거

전문가 제언
○ 인구증가와 더불어 산업의 고도화로 하수나 폐수에 포함되는 영양염류와 중금속 농도도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 수질오염처리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의 경향은 처리효율의 제고는 물론 시설면적의 최소화 그리고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 이러한 목적으로 생물반응조의 미생물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상업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폐수 중에 분산된 미생물 이외에 일종의 생물 막으로 작용하는 고정상 또는 유동상의 메디아를 사용하면, 메디아를 사용하지 않는 통상의 생물반응조보다 2배 정도 높은 농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 바이오막 표면은 호기성 반응이 주류를 이루지만, 바이오막 내부에서는 혐기성 반응이 일어나 질소화합물의 탈질 반응이 일어난다.

○ 국내에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물질을 발포시킨 뒤에 비드로 성형한 메디아를 사용하고 있지만, 고분자물질 내부에 미세조류를 고정하면, 미세조류의 동화작용에 의해 영양염류 및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고, 에너지로서 태양광을 사용하므로 에너지사용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 이 원고에서는 조류에서 추출한 천연 고분자물질인 알긴산염과 카라기난에 고정된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등의 미세조류를 고정시켜 영양염류와 중금속을 제거하는 사례를 기술하고 있다. 식물성장 촉진 박테리아를 추가로 고분자물질에 고정시키면 처리효율이 제고된다고 한다.

○ 이러한 메디아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중이 폐수와 근접하여야 하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손실을 줄이기 위해 기계적인 강도, 내구성이 개선되어야 하므로 본 원고에서 주장하는 고분자합금도 검토되어야 한다.
저자
L.E. de-Bashan, Y. Bash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01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611~1627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