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제 내성진화의 이해
- 전문가 제언
-
○ 다른 해충에 비하여 잡초 내성진화가 매우 다양하고 그 수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것은 다양한 작용모드의 제초제가 처리되고 여기에 각종 환경스트레스를 받은 잡초의 자연내성이 가세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선택성 제초제 개발과 발달은 식물과 곤충 또는 병원체만을 식별하는 살충제나 살균제보다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 잡초의 내성진화 개념과 내성지연 메커니즘은 자연이 지속적으로 갖는 내성의 새로운 형태일 수도 있다. 특히 주요 유전자 타깃부위 돌연변이는 진화의 1차 형태로 처음에는 이 현상에 주목하였으나 서서히 진행되는 은밀한 진화는 작은 내성의 축적에서 비롯되어 이를 규명하기는 현재의 최첨단기술로도 매우 난해하다.
○ 이스라엘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의 J. Gressel 박사는 현재까지 밝혀진 제초제 내성진화와 관련하여 비교적 소상히 밝히고 있다. 시대적으로는 2차 세계대전 직후 유기농약 개발에서 현대에 이르지만, 특히 제초제는 노동력 감소와 작물의 수량 증수 및 품질 유지에 중요하여 유전공학기술 발전과 함께 크게 성장하였으나, 잡초를 비롯하여 GMO 작물의 내성진화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주요 사안이다.
○ 제초제와 관련된 새로운 타입의 내성진화가 항생제나 항암제 약물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농업은 지구상 가장 큰 실험실이고 제초제는 식물체의 인공선택자로 방대한 면적에 다양한 제초작용모드의 케미컬이 처리되고 있음을 고려해서, 합리적이고 최소한의 제초제만을 처리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국내에서는 다년생 잡초 클로버가 여러 제초제에 내성을 보여 골프장이나 정원관리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농진청에서 미생물 제제의 바이오제초제를 개발하여 이를 해결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보인 것은 매우 바람직한 사안으로 환경문제도 해소될 전망이다.
- 저자
- J. Gresse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65(11)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64~1173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