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친화성 철강제품의 표면처리기술

전문가 제언
○ 자동차, 건재,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강판은 내식성, 외관성, 도장성 등이 중요하므로 용융도금이나 전기도금에 의한 아연도금층 위에 화성처리(chemical conversion coating)를 실시한다. 화성처리법에는 크롬산이온(CrO4-, Cr2O72-)을 함유하는 용액에서 처리하여 강판의 표면에 크롬산 부동태피막을 형성시키는 크로메이팅(chromating)법과 강판의 표면에 인산용액(PO43-)을 반응시켜 사삼산화철과 같은 불용성 금속인산염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파카라이징(Parkeri캬ng)으로 불리는 인산염처리(phosphating)법이 있다.

○ 이중 크로메이팅법은 내식성, 도장성, 내지문성, 유기코팅 접착성, 표면색상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가전제품, 사무기기 등에 사용되는 강판의 도장하지층의 형성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크로메이팅 피막에는 유해한 6가크롬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3가크롬으로 대체한 강판, 유기계 또는 무기계 수지를 코팅한 chromate-free강판, 내식성과 색상을 개량한 인산염피막강판이 실용화되고 있다.

○ 최근의 자동차 내, 외판재와 가전제품에는 유기계 복합피복강판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유기물질로서 에치렌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등에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방청제나 특수첨가제를 배합한 피복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용에는 도료밀착성과 용접성을 위하여 에폭시계에 콜로이달 실리카를 첨가한 유기피복강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 인산염용액에 소량의 실리카와 Mg를 첨가하여 내식성의 향상과 흑변화를 방지한 인산염처리기술도 다수 특허로 제시되고 있다.

○ 앞으로 세계무역에서는 유통상품에서 화학물질의 안전성 평가를 의무화하는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철강제품에서는 도금층에 함유되는 6가Cr, 베어링강이나 땜납용 강판에 함유되는 Pb가 대표적인 유해물질로서 일본을 위시한 외국에서는 이들을 함유하지 않는 대체기술이 많이 등장하여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자동차와 전기전자제품의 수출비중이 큰 만큼 환경규제를 만족하고 고기능성을 구비한 새로운 표면처리기술의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
Sakae Fuji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14(12)
잡지명
ふぇらむ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20~825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