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100Gbps급 채널을 이용한 대용량 광 네트워크 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 브로드밴드의 급격한 보급에 따라 인터넷을 활용한 다양한 브로드밴드 서비스가 향상되고 기간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 양은 매년 1.5~2배의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 브로드밴드의 보급과 함께 데이터센터 등에서 100Gbps 이상의 40/100G 이더넷 신호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앞으로 이 대용량 신호를 정보화 사회의 기간 네트워크에서 수용하여 장거리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 본고에서는 기간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광 네트워크에서 1개 파장당 100Gbps인 광신호를 다수채널 고밀도 파장다중화를 실현하고, 1개의 광신호를 이용해 10Tbps급 대용량 장거리 광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코히어런트 광통신 기술의 최근 동향을 고찰하였다.

○ 디지털 코히어런트 전송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은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하고, 고속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다치부호 및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수신신호의 고성능 복조처리, 파형 디스토션 보상의 향상 등을 실현한다.

○ 코히어런트 광통신 방식에서는 무선방식에서의 호모다인 검파, 헤테로다인 검파 등과 같이 수신된 광신호와의 비트신호를 베이스밴드 또는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수신된 등화파형의 식별재생을 실현한다.

○ 이 방식은 고감도 수신, 중간주파수 대역에서의 광섬유의 분산보상(지연등화) 등이 가능하므로 1990년대 초반부터 이 방식에 관한 연구개발이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광대역 광통신 방식을 구축하여 오늘날의 정보통신 강국 실현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uBcN(ubiquitous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대용량 광 네트워크 기술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저자
Yutaka Miyamot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9
권(호)
92(9)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775~781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