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 당뇨병에서 고혈당 센서로서의 NLRP3 inflammasome
- 전문가 제언
-
○ Inflammasome 중에서 특성 규명이 가장 잘 되어있는 NLRP3 inflammasome은 다양한 박테리아 생산물이나 손상 신호들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선천성 면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그 이외에도 종양 및 대사성 질환의 조종에서 NLRP3 inflammasome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새로이 밝혀지고 있다.
○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2형 당뇨병에서는 낮은 정도의 만성적 전신 염증이 함께 나타나는데, 높은 농도의 전신 순환 IL-1β는 2형 당뇨병의 위험 인자이다. 이러한 전신 염증 및 췌장 섬의 국소 염증이 비만에서 2형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이 점차 명백해지고 있다.
○ 지속적인 고혈당과 췌장 섬 기능상실 사이에는 명백한 상관관계가 있다. 본 리뷰에서는 2형 당뇨병 진행 과정의 췌장 섬 기능상실에서 고혈당에 의한 NLRP3 inflammasome 활성화가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증거를 바탕으로 새로운 당뇨병 질환-조종 기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2형 당뇨병과는 상이하지만 또 다른 대사 조절이상 질환인 통풍(gout)의 경우, NLRP3 활성화에 따른 IL-1β 생산이 요산 일 나트륨 결정에 의한 통풍 발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은 고혈당에 의한 inflammasome 활성화와 매우 흡사하다.
○ IL-1R 길항제가 2형 당뇨병에서 전신 염증을 완화하고 당 조절 및 β 세포 기능을 현저하게 개선하였다는 최근의 임상시험 결과는 IL-1β 길항이 2형 당뇨병의 유망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당뇨병은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에서 이미 전 세계적인 유행병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오랜 동안 엄청난 연구에도 불구하고 획기적인 치료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염증조절과 당뇨병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본 리뷰의 새로운 가설은 앞으로 2형 당뇨병의 질환-조종 기전에 대한 연구의 초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새 가설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기전의 당뇨병 신약 개발에도 큰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ate Schroder, Rongbin Zhou, Jurg Tschopp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327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96~300
- 분석자
- 오*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