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민간기업의 연구 활동에 관한 조사보고

전문가 제언
○ 본 조사는 일본문부과학성이 1968년 이후 매년 실시하고 있는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관한 통계조사로서 과학기술정책의 입안ㆍ추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조사대상 기업은 총 3,428사(합병ㆍ매수회사 제외) 이며 회수율은 33.7%를 달성하고 있다.

○ 일본기업의 연구개발비는 1사 평균 사내 연구개발비가 41억 7,900만 엔, 외부지출 연구개발비 9억 7,900만 엔으로 총 51억 6,000만 엔이며,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 공업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정보통신기계기구 공업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주요업종의 연구 개발자수를 보면 1사 평균 171명, 박사학위 취득자수는 7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일본기업의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과 공동연구개발ㆍ위촉연구개발을 실시하고 있는 비율은 64.7%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연구개발력ㆍ기술력의 향상」이 64.3%, 「사내에 없는 기술지식, 아이디어의 활용」63.3%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일본에서의 디자인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프로덕트ㆍ이노베이션도 실시하고 있는 경향(62.9%)에 있으며, 또한 디자인 활동을 담당하는 조직형태를 보면 사업부문 내 부서업무의 하나로 디자인 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로 연구개발부문에서 디자인 활동을 담당하고 있다.

○ 일본정부의 민간 기업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정책을 보면 연구개발 우대세제의 이용기업비율이 4할이 안되며, 또한 국가나 지방공공단체로부터 보조금을 수급했던 사실이 있는 기업의 비율은 전체의 20.7%로 나타나고 있으며, 연구개발 활동에 있어 저리융자제도를 이용했던 기업은 전체의 1.2%로 극히 낮은 수준이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 정부의 융자 및 보증정책금융은 보다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를 활발하게 한다고 하겠다.

○ 우리나라의 기업부문 R&D 투자는 최근 자체 기술개발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2008년 현재 국가 전체의 75.4%를 점유하고 있으며, 산업별로 보면 기계ㆍ기구 및 운송장비 제조업(73.1%)이 전 산업 R&D 투자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일본의 자동차 업종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저자
NISTEP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9
권(호)
p(p)
잡지명
NISTEP Report NO.135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226
분석자
오*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