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원자력 2009
- 전문가 제언
-
○ 세계의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한 에너지 수요의 증가와 화석연료의 사용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지구온도 상승은 앞으로 국제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큰 과제이다.
○ 원자력은 수명주기 동안에 매우 작은 양의 온실가스(GHG)를 발생하고 다른 에너지원에 비하여 생산단가가 저렴하여 GHG 감소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미 원자력은 세계 전력의 14%, 유럽의 17%를 담당하고 있다. 그동안 원자력은 원전사고, 사용 후 핵연료 처분, 과다한 초기투자, 일반과 정치적 지지의 결여로 화석발전소에 비하여 장래가 불확실하였으나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운영과 건설경험 그리고 기후변화, 화석연료 가격의 상승, 에너지 안보 등으로 인하여 원자력에 대한 장내가 개선되고 있다.
○ 한국은 미래 에너지 안보와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원자력이 원동력의 역할을 할 계획으로 원자력개발 장기추진계획을 확정하였다. 한국은 현재 20기의 원자로를 가동 중이고 전체의 25% 설비용량을 가지며 2022년까지 32%로 증가할 계획이다.
○ 한국전력은 2009년 말에 UAE(United Arab Emerites)에 첫 한국형 원자로 수출에 성공하였다. 같은 시기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네덜란드와 연구용 원자로 수출계약을 체결하였다. 세계는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와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하여 앞으로 20년간 원전이 420여기 건설될 전망이며 이에 대비하여 한국 정부는 2012년까지 10기, 2030년까지 80기를 수출하는 계획을 내놓았다.
○ 한국 원자력은 지난 50년간 한국형 표준경수로, 다목적연구로, 담수용 소형원자로, 소듐고속로 등 차세대를 위하여 다양한 원자로 개발에 주력하여 왔다. 또한 국내 원자로건설과 운전을 통하여 우수한 경험을 축척하여 왔다. 이번의 UAE와 네덜란드로 부터의 원자로 수주는 한국의 원자력기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고 앞으로의 수출을 통하여 한국의 꾸준한 연구와 노력이 결실을 맺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본다.
- 저자
- Planning and Economic Studi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k(k)
- 잡지명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ISBN 978-92-0-1123-9-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72
- 분석자
- 강*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