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기술적인 과제

전문가 제언
○ 현재 연 50만대 수준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세계시장 규모는 2020년에 1,400만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세계 주요 자동차메이커들이 차세대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관련 기술 확보가 향후 각 사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핵심역량으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 그 중에서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개발경쟁이 자동차 메이커를 중심으로 치열해지고 있다.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의 실용화가 아직은 요원하다고 판단되고 있기 때문이다. PHEV는 가정용 전기로 충전을 해 전기와 가솔린연료를 병행해 주행할 수 있어 연비와 배출가스가 기존 하이브리드 자동차보다 훨씬 우수한 차세대 친환경차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 PHEV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배터리의 소형, 경량화, 그리고 수명 연장 등 기술적인 과제와 가격인하 등 경제성 개선이 선결되어야 한다. PHEV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업체는 미국의 GM으로 ‘시보레 볼트’의 양산에 착수하였다. 이 차는 가정용 콘센트로 약 6시간 충전하면 65km 정도를 주행할 수 있으며 주행 중 배터리가 소모되어도 엔진으로 발전하면서 재충전하여 최장 1천km까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국내 업체 중 현대기아자동차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계열사인 현대모비스와 함께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2010년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양산에 이어 2012년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의 조기 실용화, 그리고 2013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양산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자동차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 세계시장에서의 경쟁을 위해서는 배터리, 모터 구동과 관련된 동력 전자시스템과 관련된 부품 기술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Shaik Amjad,S. Neelakrishnan, R. Rudramoorth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104~1110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