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hotsk-Chukotka화산벨트에 배태하는 금-은광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은 러시아에 분포하는 연장이 약 3,000km이고 폭이 약 200km인 Okhotsk-Chukotka화산벨트(OChVB)에 분포하는 천열수 금-은광상에 대한 것으로 그 규모 면에서 크게 기대되는 금광상이다. 대표적인 OChVB 금-은광상들로는 Dukat, Lunny, Arylakh, Gol'tsovy, Tidit, Dzhul'etta, Nyavlenga, Valunisty, Dvoinoi, Kubaka, Kupol, Evenki, Karamken 및 Khakandzha광상 등이 있다.
○ 천열수 금광상은 특히 1978년부터 1981년 사이에 환태평양지역에 분포하는 신기 화산암에서 3개의 대규모 천열수 금광상이 발견되면서부터이다. 이들 3개의 천열수 금광상은 남미 칠레의 El Indio광상(12.3g/t, 40톤 Au), 미국 켈리포니아의 McLaughlin광상(5.2g/t, 93톤 Au) 그리고 일본의 Hishikari광상(80g/t, 120톤 Au) 등이다.
○ 일반적으로 천열수 금광상(Epithermal gold deposits)이라고 할 때 화산암을 모암으로 한 금광상을 지칭한다. 그러나 석회암내에 금이 극미립의 산점상으로 산출되는 칼린형 금광상(Carlin type gold deposits)도 엄격히 말해 천열수 금광상으로 분류된다. 미국은 칼린형 금광상의 개발에 힘입어 세계 금 생산량의 2000년 기준으로 할 때 13%(320톤, 품위 Au 99.9%)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생산량의 70%(220톤)는 칼린형 금광상에서 생산되고 있다. 또한 미국은 금 생산량의 20%(60톤)를 수출함으로서 국제통화수지에 중요한 수단으로 삼고 있다.
○ 현재 국제적인 금광상 탐사 추세는 주로 천열수 금광상(칼린형 금광상 포함)을 위시해서 열극을 충진한 열수금광상, 스카른금광상 및 사금광상에 집중되고 있으며 미국, 캐나다, 남미 칠레 및 일본 등지에서 탐사를 위한 기술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은 금광상 탐사에 앞서가는 국가들의 기술에 거의 비슷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 전남 해남에 소재하는 순신금광이 개발생산하고 강원도 태백산광화대에 칼린형 금광상이 기대된다.
○ 금값은 계속 오르고 있는데 현재 금값은 2010년 1월 22일을 기준으로 볼 때 국제가격 39,909원/g이고 국내가격은 44,720원/g이다.
- 저자
- A.A.Sidorov, A.V.Volkov, V.F.Belyi, V.Yu.Alekseev, and E.E.Kolov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51(6)
- 잡지명
- Geology of Ore Deposi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41~455
- 분석자
- 황*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