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열 생산기술의 개요
- 전문가 제언
-
○ 지구 상에 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유용하게 이용할 것인가는 한 나라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가 함께 심각하게 고민하여야 할 문제로서 에너지 문제는 인구문제, 식량문제, 환경문제 등과 더불어 인류 전체의 장래와 관계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 지난 1860~1985년까지 125년간 지구상에서 화석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의 이용은 급증하였고, 최근의 에너지 소비추세로는 2005년 기준으로 2050년에는 약 1.8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많은 에너지자원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석학들은 21세기 간에 지구 상의 자원은 공급이 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지만, 그 보다 더 큰 문제는 화석연료 사용 후 방출되는 CO2에 의한 지구 환경오염(대기, 지하수, 토양) 문제이다.
○ 지구 내부로부터 자연적으로 얻을 수 있는 지열에너지는 방사성원소가 붕괴 시 내는 열이 83%, 지구 중심부의 열이 17%로 알려져 있다. 특히 화산성 고온 지열에너지의 분포가 많은 나라에서는 반영구적인 친환경성 청정 재생에너지 자원인 지열자원을 개발하여 지열발전, 지역난방, 지열펌프를 이용한 지역냉난방, 첨단시설 영농 및 어업단지 조성 등에 활용함으로써 환경보존은 물론, 에너지 수입비용 절감 및 농어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 지열 시스템은 “열원”, “지열 저류층(저장소)”, “열전달 매개체인 유체” 등 3가지 중요한 요소로 구성되는데, 열원은 비교적 천부까지 관입한 마그마 관입체이며, 지열 저류층은 불투수성 암층에 피복되어 있고, 지표의 강수 함양지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지열수의 근원은 대부분의 경우 강수이며, 열원의 온도와 저류층의 압력에 따라 액체(열수) 또는 기체상태(수증기)로 존재하며, 지열수 중에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CO2, H2S 등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 기후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하여 겨울은 난방, 여름은 냉방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에너지 소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지열에너지의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
- 저자
- Darrell L. Gallup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38(3)
- 잡지명
- Geotherm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6~334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