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치패널의 최신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터치패널은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 거의 모든 단말장치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마우스와 키보드를 대신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초슬림 형태의 기기에서 가장 간편한 정보입력 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양방향 통신이 보편화되고, TV를 비롯한 거의 모든 가전기기, 휴대폰, DMB 등에서 터치패널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어, 이에 따른 신기술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오늘날 출시되고 있는 터치패널에 적용되는 각종 기술과 또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기술들을 살펴보고 그 장단점과 활용범위, 터치패널 기술의 발전 동향 및 미래의 발전상 등을 고찰하였다.
○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착용형 컴퓨터와 더불어 터치패널이 더욱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시점에서는 단순 터치에 의한 평면 좌표의 정보인식 외에 정밀한 디스플레이의 실현이 어렵다. 또한 오작동 문제, 패널의 투명도 향상, 사용감 개선, 내구성 향상 등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 있다. 따라서 완벽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꾸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 가전업계에서도 곧 3D입체 디스플레이를 출시할 예정이다. 여기에도 터치패널이 적용되어 그 활용성이 증대될 전망이다. 삼성전자에서는 최근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호평을 받고 있는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에 터치 기능을 내장하여 일체화한 슈퍼 아몰레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초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점차 사이즈를 키워나가고 있다. 터치패널의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3차원의 검색 기능까지 갖추게 됨으로써 더욱 세밀하고 정밀한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인류생활에 편의성을 제공해주기를 기대한다.
- 저자
- Yuichi Okano, Kageyasu Miyah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63(8)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101~1106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