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에너지 안보 대 기후변화: 몇 EU 전력시장의 이론 개발과 경험

전문가 제언
○ 환경문제, 특히 기후변화는 각국을 에너지 안보에서 타협해야 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대책에 가장 적극적인 유럽은 국내 부존자원인 석탄의 사용을 자제하고 탄소 함량이 적은 천연가스 등을 수입하고 있다. 이것이 에너지 대외의존도를 심화시킨다. 본문은 EU 4개국의 대외의존도를 최소화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각국의 서로 다른 여건이 공통된 전략 추출을 어렵게 한다.

○ 재생에너지의 전력망 연결 확대가 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본문은 재생에너지의 다양한 포리폴리오가 재생에너지의 간헐적 성질을 서로 보완하여 신뢰성을 고양한다는 주장이나 이것이 재생에너지가 가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 또 다른 해결책으로 원자력의 재-대두를 들 수 있다. 과거 체르노빌과 쓰리 마일 사고는 원자력 발전소를 공포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것이 독일의 원자력 발전소의 점차적 퇴역 계획 등 여러 나라에서 원자력을 거의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하게 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의 대응 기술로서 무-탄소 배출 발전 기술이란 점 때문에 다시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오늘날 31개국에서 운전 중인 443개의 원자력발전소가 세계 전력의 17%를, 그리고 전체 에너지의 7%를 공급하고 있다. 10개국에서 23개의 새로운 원자력발전소가 건설 중이다. 현재 미국의 가동 중인 103개의 원자력발전소는 매년 6억 톤의 CO2 배출을 피하게 한다는 계산이다.

○ 우리나라는 에너지 공급에서 볼 때 완전 독립과는 너무 먼 상태로 발전 연료의 수입 비중이 매우 크다. 그 중 원자력만이 비중이 매우 높은 탄소 중립적인 발전 방식이다. 재생에너지는 수력만이 대규모적이나 그 발전 점유율은 별로 크지 않고 지리상 여건이 확충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는 전체적으로 아직 미미하다. 그러나 조력발전과 해수발전 등 바다의 해수를 이용한 대규모 재생에너지 개발에 착수하였는데 그 규모는 세계 제일을 다툴 것으로 보인다.
저자
Chalvatzis, K.J., Hooper, 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703~2709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