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스펀본드 섬유
- 전문가 제언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PPS의 경우, 2008년을 기준으로 그 수요가 약 6만 톤(5억 달러)에 달하며, 매년 15%의 성장을 이루고 있고, 특히 중국에서는 30%의 성장을 기록하는 미래지향적 소재이다. 현재까지는 Phillips Chemical사, 일본의 Toray사, DIC사 등이 상업적인 독점을 누리고 있다.
○ 삼성전자, 소니, 애플 등의 글로벌 전자제품 업체들은 불에 탈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 등 발암물질의 원인인 염소, 브롬 성분이 없는 부품만 도입하는 할로겐 프리(Halogen-Free) 규제를 도입하거나 추진 중이다. 국내의 기업이 현재 개발한 할로겐이 없는 PPS는 난연 등 상기의 규제를 피할 수 있으므로 한층 경쟁력을 갖춘 재료가 될 것이다.
○ 해도사(sea & island)공법을 이용하여 극세사를 만드는 경우, 나일론을 섬 성분으로, 고밀도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바다 성분으로 적절히 혼합하여 원하는 점도 영역을 얻어, 나일론의 섬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본 스펀본드도 그와 같이 예민한 점도의존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는 좀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 본 특허는 두 가지의 고분자를 혼합하여 적절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가능하면 단일 고분자에서 본 특허가 이루고자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질 수 있는 합성법의 연구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 저자
- Rollin JR, Paul,, Ellis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8589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