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BCG 백신 투여에 대한 국소적 및 부위적 부작용 반응

전문가 제언
○ 세계의 많은 나라와는 달리 현재 우리나라는 결핵이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나라에 속한다. 따라서 결핵을 예방하고 감염률을 감소시키는 것은 큰 국가적 과제다. 이를 위하여 정부(질병관리본부 등)에서는 2030 계획을 수립하여 감염자 감소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업 중의 하나는 효과적인 BCG 백신의 투여다. 특히 근래 AIDS 감염자의 다수가 결핵 환자로 확인되어 효과적인 결핵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태다.

○ 우리나라에서의 결핵 접종 방법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생후 4주 이내에 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며 늦어도 생후 12개월 이전까지 접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미접종 소아는 초등학교 1학년이 되었을 때 접종 기록 혹은 접종 반흔을 확인받고 있다.

○ 문제는 BCG 백신의 균주와 제조 방법, 그리고 접종 방법에 따라서 효과의 차이가 예상되고 있으며 다양한 부작용이 야기되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본 분석물은 유럽에서 새로이 생산하여 사용되고 있는 BCG-SSI 백신의 부작용에 관한 국가적인 조사 사업에 관한 내용이다.

○ 유럽에서는 국가마다 BCG 백신의 접종 대상 및 시기가 다르며, 국가 마다 사용하는 균주 및 제조사가 다르다. 프랑스에서는 근래 피내 접종 방법인 코펜하겐의 SSI 연구소에서 개발한 균주로 제조한 백신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백신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 BCG -SSI 백신 제품의 사용 이후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부작용은 극히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백신 접종 후에 보고되는 심각한 부작용은 대부분이 백신 접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사용 중인 BCG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대대적이며 조직적인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BCG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고 적극적으로 백신을 사용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A.Dommergue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7(50)
잡지명
Vac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967~6973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