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기오염물질에의 인체노출

전문가 제언
○ 만성 심폐질환자들의 입자상물질(PM: particular matter)에의 노출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룩하였지만, 심폐환자를 포함한 민감한 집단들에 대한 건강 악영향과 그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특성화연구가 필요하다.

○ 대기오염물질에의 인체노출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는 보다 구체적인 병인의 규명과 노년층 및 환자군을 포함한 민감한 집단에 대한 PM의 부정적 영향의 계량화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어된 환경에 환자들이 노출될 경우 각 환자들의 유전적 다형성을 확보하고 연구결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DNA샘플을 수집, 저장하여야 할 것이다.

○ 정화된 공기와 대기수준의 PM에 노출된 환자들을 비교하면 생물학적 변화에 관한 개선점을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고농도PM에의 노출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을 감소시켜 주며, PM노출의 부정적 영향이 가장 큰 중증환자들도 연구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 제어된 인체노출 연구에서 발견하는 개선신호는 작다하더라도 민감한 고위험 환자들에게는 이를 확대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은 취약한 집단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농도의 대기오염입자는 어린이의 성장, 발달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 기후변화가?대기?중?오염물질의?이동,?확산,?축적에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PM에?의한?이환율과?사망률에도 영향을?미칠?것이라는 우려가?있다.?기후변화가?대기 중?입자상물질의?농도와 건강에 어떤?영향을?미치는가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의 대기오염은 산업화, 도시화 등으로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인체의 노출피해도 급증하고 있으나 아직 오염수준 파악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대기오염과 관련한 인체의 건강영향 평가연구는 부족한 편이므로, 오염물질의 위해성평가와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관한 연구의 추진이 시급하다.
저자
Yuh-Chin T Huang, Andrew J Gh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8(33)
잡지명
Environmental Healt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0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