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염소살균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선천성 이상

전문가 제언
○ 음료수의 살균은 공공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많은 사람들이 식수와 샤워, 목욕, 수영 등의 활동을 통하여 염소 소독부산물에 노출되어 있다. 소독부산물(DBP)들의 상대적 위험성이 그렇게 높지 않다 하더라도 건강에의 부정적 영향은 항상 감시,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 수영장의 경우?소독은?각종?감염성질환을?방지하기?위하여?꼭?필요하지만?전통적인?염소 소독과정에서?소독부산물이?생성되며,?생성되는?소독부산물의?유형과?수준은?수영장과?물의?특성에?따라?다르다. 수영장?소독과?정비를 위하여?데이터를?수집하고?소독부산물의?생성에 어떤?변화를?주는지?추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본 논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독부산물은 수돗물처리 방법과 지역, 시간(계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DBP의 건강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 건강위험성을 측정하는 지표물질로 주로 TTHM (total trihalomethane)을 사용하고 있다.

○ 특정 DBP와 혼합된 소독부산물의 잠재적인 건강위해성을 면밀히 검사할 필요가 있으며, 물의 섭취 및 DBP에의 노출경로도 자세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환자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와 코호트(cohort) 연구를 통하여 노출정도, 대사메커니즘, 노출피해를 방지하는 방법 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물속의 소독부산물과 개인적 활동특성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흡연과 음주와의 관련성도 연구되어야 할 사항이다. 또한 염소 소독부산물은 엽산의 대사를 방해한다고 하므로 대사시스템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화적(oxidative) 스트레스와 유전독성(genotoxicity)메커니즘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저자
Mark J. Nieuwenhuijsen, David Martinez, James Grelli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17(10)
잡지명
Environmental Health?Perspectiv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86~1493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