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제조업 경쟁력 전략 : 일본의 도전 및 미국의 기회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일본의 제조업 경쟁력 전략-일본의 도전 및 미국의 기회”를 주제로 하여 중요사항과 테마, 일본으로부터의 통찰: 사례연구와 공유관점, 일본에서 성공한 미국회사들, 보다 확대된 미국과 일본 간 관계를 위한 기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본의 학계, 관료, 산업체 대표 및 일본 내의 미국회사대표와의 인터뷰 결과에 토대하고 있다.
○ 특히, 일본은 장기불황 이후에 경제와 제조부문의 신장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과 일본의 비교우위는 통합된 제품메커니즘과 제조프로세스에서의 체계적인 디자인이고, 일본 글로벌전략의 2가지 핵심요소는 생산입지의 다양화와 자유무역협정의 협상이라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오늘날 경쟁력의 핵심은 기술경쟁력이라 할 수 있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혁신과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 법제의 혁신이 요구된다. 경쟁력의 문제를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해야 한다는 인식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추세이다. 특히, 미국경제의 침체와 중산층 붕괴가 제조업을 포기한 대가라는 주장과 “오바마노믹스”의 무게중심이 자동차를 비롯한 제조부문에 치중되면서 제조업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 일본은 미국 등 다른 선진국과는 달리 경제성장의 원동력을 제조업의 경쟁력이라는 인식하에 정부 주도의 장기적인 제조업 성장전략을 제시하고, 체계적이며 일관된 산업정책을 추진하며, 투철한 장인정신 및 기술인력 중시 풍토를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 제조업의 기반을 굳건하게 다질 필요가 있다.
○ 그간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으나, 현재 중국의 급속한 추격, 세계적 경제위기에의 대응, 녹색성장의 세계적 추세 등의 중요한 도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제조업 역할의 확대, 기업 R&D 투자의 확대,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활용, 신성장동력의 수출산업화 등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Jane Corwin and Rebecca Pucket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잡지명
- U.S. Department of Commerce,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REPOR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44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