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츠하이머병의 아밀로이드 연쇄 가설의 재평가

전문가 제언


○ 선진국에서 노년층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알츠하이머병(AD)은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병은 초기에 가벼운 인지감퇴, 단기 기억 부족, 공간기억의 상실 및 정서 불균형 등이 나타나고 병이 진행함에 따라, 증상이 심해지고 결국 실행능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 1991년에 John Hardy와 David Allsop는 AD의 원인에 대한 “아밀로이드 연쇄 가설”을 발표하였다. 이 가설에 의하면 반점의 주요 성분인 아밀로이드-β(Aβ)단백질의 침적이 이병의 원인이다. Aβ는 아밀로이드 선구단백질(APP)의 잘못된 대사로 인해 생성되며 특히 Aβ42가 잘 응집한다.

○ 아밀로이드 가설은 여러 분야의 연구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특히 유전학 분야에서 APP와 PS1(presenilin 1)과 PS2에서 돌연변이들은 가족적 AD(fAD)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원인이 된다. 병리학분야에서는 Aβ 반점과 Tau 엉킴은 AD의 진단용 특징으로 고려된다. 세포 생물학 분야에서 Aβ 펩티드가 신경독성을 증명하였고 또한 세포자살 시냅스 상실과 같은 해로운 변화를 초래하였다.

○ 아밀로이드 가설은 많은 실험 자료들로부터 지지를 받았으나 이 가설의 주요주장과 일치하지 않는 새로운 자료들이 쌓이고 있다. 유전학 분야에서 APP와 persenilins에서 돌연변이는 이 가설을 강력히 뒷받침 하였으나 이것이 AD의 제일 원인이라는 증거는 아니다. 병리학분야에서 반점이 병을 일으킨다는 이 가설의 주장도 인기를 잃어가고 있다. 세포 생물학분야에서도 이 가설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 두 극단의 사람들이 있는데, 하나는 이 가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이고 다른 하나는 이 가설을 부정하는 사람들이다. 어느 주장이 맞는지는 현재로서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현재 새롭게 주목을 받는 병의 원인은 가용성 "Aβ-올리고머“이다. 이 병의 원인을 정확히 밝히는 일이 급선무이고 그 이후에야 치료방법의 개발과 신약개발의 길이 열릴 것이다.
저자
S.W. Pimplik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41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61~1268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