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학적/물리적 수소 저장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 에너지 매체로서 수소에 대한 연구는 수소의 생산과 저장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수소의 생산은 수성가스의 개질반응과 물의 직접분해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연구원이 원자력을 이용한 물의 직접분해에 의한 대량 수소 생산을 위한 원자로 개발과제를 국제협력과제로 수행 중에 있다.

○ 에너지 기술 개발에는 전체 시스템이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면에서 수소경제의 하부구조에 따라 기술의 장단점이 평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액체수소에서 수소의 액화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거론되었으나 하부구조를 액체수소에 기초하고 구축한다면 액화과정에서 사용된 에너지의 회수기술 개발에 더욱 많은 투자를 하여야 할 것이다.

○ 수소경제 시스템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되는 분야가 수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소의 저장에 대한 기술개발이다. 저장 기술들은 부문에 따라 접근을 달리하고 있으나 크게 나누어 액화수소기술과 흡착에 의한 수소저장기술이 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수소 관련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그리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중심으로 수소경제시대에 대비한 열화학 사이클 이용 물 분해 수소제조기술, 연료전지 구성요소에 대한 원천기술과 제조기술개발 및 탄화수소 개질기 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다. 기초연구분야에는 탄화수소 및 메탄올 개질촉매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 이 보고서에는 물리적 저장기술인 압축수소와 액화수소 그리고 흡착물질을 사용한 냉동흡착에 비하여 화학적 저장기술에 비중을 두고, 수소의 저장에 대한 모든 기술 개발 현황과 실제 응용에의 장단점 등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에 대한 현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저자
Ulrich Eberle, Michael Felderhoff, and Ferdi Schut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48
잡지명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608~6630
분석자
엄*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