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에서 면역억제 네트워크와 수지상 세포에 주는 영향

전문가 제언
○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는 가장 강력한 항원제시세포(antigen-presenting cell)이며 종양에서 다른 반응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어 이 리뷰에서는 암에서 생기는 수지세포의 기능과 결함의 기전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종양세포에 대해 면역체계가 작동해서 방어하지 못한다는 사실은 종양의 발생에서부터 치료에서도 성공에 한계를 갖게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 수지성세포는 여러 가지 접착분자를 발현하고 chemokine 수용체를 표면에 가지고 있어 내피조직이 세정맥(venules)을 형성하는 데 돕고 따라서 혈액에서 림프절로 옮겨가는 데 역할도 한다. 이 세포에서는 L-selectin이 계속 발현되며 인터페론을 생성하는 세포를 이차적인 림프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 1980년대에 새로운 개념의 암 면역요법이 소개되면서 시토카인(cytokine) 을 토대로 한 치료요법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종양 면역학에 대한 이해와 기술이 증진됨에 따라 면역요법의 타당성에 대한 증거를 낳기도 했다. 여러 차례의 임상시험에서 암에 대한 수지상세포 관련 면역요법의 실행 가능성, 안전성 그리고 면역원성도 증대되고 있다.

○ 이러한 배경에는 세포표면 마커의 특성과 미성숙한 수지세포가 유방암과 대장암세포에서 발견되고 이 미숙한 수지세포는 종양 베드에 이동하고 종양에서 유래한 항원을 잡아 특정 T세포에 표시하면서도 암환자에서 면역반응을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 최근에 in vitro에서 미숙 수지성세포가 종양세포와 변형된 내피세포를 죽이며 정상세포는 죽이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암 치료를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항원표시인자와 수지세포의 특성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Karim Bennaceur, Jessica Alice Chapman, Jean-louis Touraine, Jacques Portoukali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1795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24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