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안전 확보를 위한 GAP 추진

전문가 제언
○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우수농업기준)란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농업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농산물의 저장?세척?건조?선별?절단?조제?포장 등을 포함) 및 유통의 각 단계에서 재배포장 및 농업용수 등의 농업환경과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중금속,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말하며, 농산물 품질관리법에서는 ‘농산물 우수관리기준’으로 표현하고 있다

○ GAP의 도입은 ①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생산단계에서부터 시작되는 농산물 안전관리체계 구축 ②농산물 안전에 관련된 국제동향에 적극 대응 ③DDA 이후 생산농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농산물 품질관리제도 도입 ④농촌의 자연환경 보호 및 농업의 지속성 확보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졌다

○ 국내의 GAP는 농산물 품질관리법의 관리를 받고 있으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지정을 받은 45개의 농산물 우수관리 인증기관들이 농산물 우수관리 인증을 하고 있다

○ 국내에서 농산물 우수관리 인증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소비자들은 안전한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고, 생산자들은 고가에 판매를 할 수 있어 소득 증대를 이룰 수 있었으며, 수출에서는 무역장벽을 뚫을 수 있어 수출에 도움이 되었다.

○ 앞으로 더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 인증을 한 후 생산농가의 꾸준한 사후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국민에게 농산물 우수관리 인증제도를 홍보하여 우수한 농산물이 차별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 제도가 정착됨으로 해서 우리 식생활은 한층 안전하게 될 것이며, 국민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저자
Kentaro MORI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59(5)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5~40
분석자
백*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