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조명의 최신기술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이 문헌은 일본 Saitama대학의 NAKGAWA교수가 LED조명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 일본에선 Kyoto의정서로 정해진 CO2 삭감량의 목표달성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에너지절약에 지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조명은 가정용 부문이 소비전력의 약 16%, 사무용 부문이 약 20%를 점하고 있어서 조명의 에너지절약이 일본의 CO2 절약상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가 흐르면 발광을 하는 일종의 반도체이며 “발광다이오드”로 알려져 있다. 소비전력은 백열전구의 약 7분의 1이고 수명은 10배 이상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조명기구를 전부 LED로 대체한다면 조명부문의 전력소비량은 반으로 감소되고 CO2도 대폭 삭감될 수 있다.
○ 이러한 배경에서 LED조명장치는 새로운 제품으로 장래성이 기대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종류의 제품이 공급되고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스펙(Specification) 표시에 일정한 기준이 없으며 성능평가 방법도 확립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많은 문제를 안겨주고 있는 실정이다.
○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유사한 제품의 난립을 막기 위해서는 제품의 평가와 표시 및 안전성에 대한 규격 설정이 급선무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선 업계가 중심이 되어 단체규격으로 작성해서 제품의 보급과 정비 상태에 따라 국내규격과 국제규격으로 정비가 되어야 한다.
○ LED조명은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공급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는 신제품이다. 따라서 공급자가 중심이 되어 제품의 평가와 표시 및 안전성에 대한 규격 설정과 사용자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인접국 일본의 동향이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저자
- Y NAKAG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61(10)
- 잡지명
- 省エネルギ―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8~22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