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계 필름 시트와 식물계 수축필름의 최신 실용화 상황
- 전문가 제언
-
○ 청량음료, 맥주 등의 음료는 병이나 페트병 등 용기에 충전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다른 상품과의 차별화나 상품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해 용기 외측에 인쇄를 한 열수축성 라벨을 부착한다.
○ 이들 라벨에는 단시간에 저온에서 고도의 수축처리를 할 수 있는 자연수축률이 작은 열수축성 필름이 요구되고 있고, 현재 수축필름 업계에서는 라벨링 시에 증기 슈링커 내에서 가능한 한 저온에서 수축을 할 수 있는 열수축성 필름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 열수축성 라벨의 소재로서는 PET계, 폴리스티렌계 수지가 사용되어 왔으나 석유의 고갈 문제로부터 대체수지가 요구되고 있다. 대체수지로서 폴리젖산계 수지가 알려져 있으며, 이 PLA수지는 전분의 발효에 의해 얻어지는 젖산을 원료로 하는 식물유래 수지로 화학공학적으로 양산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 강성 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식물유래 원료이므로 화석자원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환경배려형 수지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PLA계 수지를 조합한 적층필름도 개발되고 있으나 표면층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점도평균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기계강도나 내열성 등 물성을 발현하지 않으면 수축필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경우도 있다.
○ 국내에서는 위더스케미칼 등이 폴리젖산계 수축필름을 개발하여 생분해성 포장용 상표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 제품은 옥수수 전분에서 뽑은 포도당을 발효시켜 생산한 젖산을 중합체인 합성수지로 전환해 만들어졌다.
○ 수축필름의 개발은 일본의 Mitsubishi 수지가 많은 특허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수지를 개발할 경우 특허회피를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 저자
- Norio Yoshig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60(10)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9~73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