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에스테르 산업 및 신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 폴리에스테르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대표되는 선상 포화 폴리에스테르와 유리섬유로 강화된 수지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로 대별된다. 생산량이나 용도 면에서 가장 큰 수요를 창출하고 있는 것은 섬유를 중심으로 하는 PET이다. 일본과 한국 등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국가로 발전하는데 큰 역할을 한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PET를 기본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이다. 그러나 20여 년 전부터 중국을 중심으로 한 개발도상국 등의 발전에 따라 위기를 맞아 변신의 과정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PET의 원료인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경우도 생산기지가 중국 및 중동으로 옮겨가고 있다.

○ 미국, 일본 등 관련 기업들은 오래전부터 변신을 해오고 있다. PET, TPA 등의 감소에 따른 보완 측면뿐만 아니라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에 대비한 바이오매스(biomass)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관심의 증대이다. 대표적인 것이 PTT, PDO, CHDM 등의 신규 사업이다.

○ 대표적인 사례로 2000년 DuPont사는 설탕, 감미료, 전분 등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최대의 구연산 메이커인 Tate&Lyle사와 반반 출자로 PTT의 PDO 제조회사인 “DuPont Tate& Lyle사”를 설립, 연산 45,000톤의 공장을 건설, 2006년 11월 조업을 개시하였다. Shell Chemicals사 또한 마찬가지이다.

○ 한국의 기업들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에서의 PET 섬유산업은 사업 철수와 해외 이전을 계속하면서 CHDM,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등의 사업을 착수, 검토하고 있다. 향후 더욱더 적극적인 변신과 다양화, 기존제품의 고기능 고부가가치화 등을 계속 추진해 나가지 못하면 심각한 위기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 미래의 신 섬유는 가늘고, 강하고, 가벼운 초기능성의 발현과 IT, BT, NT, ET 등과 결합된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첨단산업분야이다. 종래의 단순 의류라는 인식을 벗어나 고기능을 갖는 건강복지섬유, 산업용으로 극한환경, 특수기능을 갖는 새로운 개념의 슈퍼섬유가 향후 각광을 받아 용도분야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저자
Sudoh Mas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57(12)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14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