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 디젤 제조공정

전문가 제언
○ 환경 친화적인 대체에너지원으로서의 바이오 디젤에 대한 관심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고, 그동안 각국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에 힘입어 많은 연구기관들이 경제적인 바이오 디젤 제조공정 개발에 경쟁적으로 참여했고 더불어 많은 제조업체들도 생겨났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참여정부 시절에 10개가 넘는 바이오 디젤 제조회사가 탄생했으나 채산성 문제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상업적으로 완성된 기술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고순도 식용유를 원료로 하여 균일상 염기성 촉매를 쓰는 방식이지만, 식용유 가격의 폭등으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받더라도 도저히 기존의 바이오 디젤과 경쟁을 할 수 없는 원가구조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가인 폐유지를 사용하려는 노력들이 집중적으로 있었지만, 폐유지의 안정적인 수급, 폐유지의 사용에 따른 수율의 저하 및 폐수의 증가 등 기술적인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 경쟁력 있는 바이오 디젤의 제조를 위해서는 저가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 폐수 발생이 적은 고수율 공정의 확립 그리고 바이오 디젤 생산량의 약 10%를 점하는 조 글린세린의 경제적인 정제공정의 확립이 필요하다. 해조류의 사용이나 불균일상 촉매와 초음파, 극초단파의 사용이 한 해결방안이지만 실용화까지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이밖에도 자트로파유와 같은 비식용성 유지를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자트로파유의 특성에 맞는 제조공정 개발 및 대규모 자트로파 농장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아직 기대만큼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다.
저자
Amish P. Vyas, Jaswant L. Verma, N. Subrahmanya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89(1)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9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