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용도의 개인 이동 DRM 관리자
- 전문가 제언
-
○ 스마트폰은 기존의 모바일 폰과 같이 휴대가 간편하며,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약칭 ‘앱’)를 통한 이용 확장성이 무한하기 때문에 최근 국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미국의 시장 조사기관인 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2015년도에 스마트폰이 시장점유율 측면에서 일반 휴대전화를 넘어설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 스마트폰 시대의 도래는 사용자의 편리와 생산성 증진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무선 인터넷을 통한 금융서비스의 보안문제,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문제, 디지털 저작권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사회적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있다.
○ 특히 디지털 저작권 보호 문제는 스마트폰 활성화 추세에 따라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청소년 저작권 위반 피소 건수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는 2만 건을 상회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보급이 청소년의 저작권 위반문제를 더욱 악화시키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DRM 기술과는 달리 일반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스마트폰 상에서의 DRM 기술을 제안한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시대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 발전의 도구 기술로서 큰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최근 국내에서도 2009년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 학술대회 등 다양한 학술모임을 통해서 스마트폰 기반 사용자의 디지털 저작권 통제기술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보안 및 이동통신 회사들을 중심으로 제품 개발이 추진이 검토 또는 진행되고 있다.
○ 저작권 침해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 해결과 국내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저자
- Siddharth Bhatt, Radu Sion, Bogdan Carbuna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28(6)
- 잡지명
- Computers & Securi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27~340
- 분석자
- 고*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