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국제 에너지작물의 개발현황

전문가 제언
○ 최근에는 석유 수송연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바이오연료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은 옥수수 에탄올의 생산을 장려하고 있고, 유럽연합은 2010년까지 수송연료 중 바이오연료 비율을 5%로 증가시킬 계획이며, 또한 중국과 인도 등이 바이오연료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 바이오연료는 태양에너지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으로 원료가 되는 에너지작물의 재배에는 여러 가지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옥수수 에탄올의 에너지수율을 수명주기로 평가하면 마이너스가 되기 때문이다.

○ 한편, 유럽연합은 역내의 황무지를 개발하여 바이오연료용 에너지작물을 증산하기보다는 동남아시아의 팜유 증산과 수입을 통하여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있는데, 이로 인해 열대우림이 파괴되고 있다는 평가가 있어 바이오연료의 이용에 회의적인 시각을 만들고 있다.

○ 따라서 바이오연료보다는 속성 생장의 에너지작물(목초, 버드나무, 포플러 등)을 재배하는 것이 더 유망하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이들 작물의 에너지수율도 유채씨 바이오디젤(에너지수율 4.5배)보다 유리하지 않은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 그러나 곡물이나 에너지작물 대신에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에탄올을 생산하거나 자원 잠재력이 막대한 바다의 조류 등을 속성 생장시켜 바이오매스의 생산에 이용할 수 있게 되면 바이오매스와 바이오연료에 대한 시각이 크게 달라질 것이다.

○ 바다의 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생산이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여 에탄올을 생산하는 2세대 바이오연료 기술은 이에 이용되는 박테리아의 생산과 공급량에 한계가 있고 아직까지는 에탄올 생산효율이 너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 자료는 농지가 아니라 황무지나 산지를 이용하여 재배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작물의 세계적인 개발방향과 이용현황을 요약하고 있어 관련 분야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저자
Liu Zeng-Hui, Shao Hong-B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30~534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