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 부족에 시달리는 중국

전문가 제언
○ 지구에 존재하는 물 총량은 13억 8천 6백만㎦ 정도로 추산되고 있는데, 이 중 염수가 97.5%, 담수가 2.5%를 차지하며 담수 중 약 69%는 빙설형태로 존재한다. 1996년에 창설한 WWC(World Water Council)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담수 자원에서 취수한 양의 66%는 농업 관개용, 20%는 산업용, 10%는 가정용으로 사용하며 약 4%는 증발되는 양이다.

○ 세계의 담수 상당량이 오염돼 비위생적이고 기후변화, 관개용수의 낭비 등으로 물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세계인구의 증가에 따라 해마다 약 640억㎥씩 더 필요해 물 사정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의 보고로는 2025년까지 약 18억 명 인구가 물 기근 수렁에 빠진 국가나 지역에 살 것이며, 세계인구의 약 2/3 정도가 물 부족으로 고통을 받을 것이라고 한다.

? 물 부족의 심각성은 특히 북아프리카와 중동지역 국가, 중국 북부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라고 한다. 이스라엘의 전 수도국장인 Meir의 말을 빌리면,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및 시리아 간에는 물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 우리나라의 연간 총 수자원의 양과 이용량은 각각 1,300억 및 300억㎥ 정도로 미국, 영국, 프랑스 및 일본과 비교하면 이용률이 높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강이나 하천의 물을 되도록 많이 육지에 가두어두고 고갈된 대수층을 함양시키는 수자원관리정책이 필요하다. 이런 뜻에서 현 정부의 4대 강 살리기 개발정책은 수자원관리의 효율적인 정책일 수 있지만, 수문환경과 수생 생태계가 파괴되지 않도록 해야 하겠다.

○ UNGA(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는 1992년 12월 1993년부터 매해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World Water Day)"로 정하기로 결의했다. 2010년 3월 22일은 그 주제가 수질인데, 이날을 전후해 세계 곳곳에서 각종 행사가 벌어진다. 우리나라가 일상생활에서 물을 절약하면 연간 11,700만 톤의 수돗물을 절약할 수 있다니 국민 각자는 이날을 맞아 수자원을 오염시키지 않고 물을 절약하는 습성을 키웠으면 한다
저자
Yong Ji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90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185~3196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