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폴리머의 최근의 발전
- 전문가 제언
-
○ 폴리머는 포장산업에서 건설 분야까지 모든 시장에 아주 영향력 있게 침투되어 있으며 폴리머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도록 촉진하는 폴리머의 특성이 큰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원유 매장량의 감소와 더불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폴리머산업은 새로운 원료 자원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 바이오폴리머는 식물유래 자원 등 재생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원료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친환경 소재이다. 전분을 이용한 전분계 플라스틱과 옥수수로부터 포도당, lactic acid, lactide 등으로의 변환 과정을 거쳐 생산된 poly(lactic acid), PLA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면서 동시에 생분해성도 나타낸다. 옥수수 이외의 비식용 작물을 원료로 활용하려는 연구,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의 범용수지를 제조하려는 연구개발 등이 진행되고 있다.
○ 본고는 재생 가능 원재료로부터 폴리머/모노머의 합성과 재생 가능 재료에서 폴리머를 생산하는 최근의 개발 내용을 소개한 것으로 탄수화물 폴리머로부터 생분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피마자유를 기반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우레탄 네트워크, 생선유로부터 열경화성 폴리머의 합성, 미생물로부터 PHB와 그 변종의 생산, 당류로부터 폴리카프로락톤(PCL)의 생산 등을 설명하고 있다.
○ 국내 바이오폴리머 산업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산업이 주를 이루어 왔으며 최근 들어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이용한 각종 포장용기 및 내구성 제품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폴리머 산업은 제조원가가 높고 특히 국내에서는 원료확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나 환경 친화적인 장점 때문에 내구성을 보완하면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바이오산업에 수요가 확대될 것이다.
○ 바이오폴리머 분야가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브라질, 동남아시아, 호주 등 식물자원이 풍부한 국가와의 교류를 통한 자원 확보와 국내의 자체 자원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Vicki Flaris, Gurpreet Sing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15(1)
- 잡지명
- Journal of Vinyl and Additiv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1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