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 드라이브 실천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삭감
- 전문가 제언
-
○ 자가용 승용차와 화물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삭감은 지구온난화 대책 중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 중에서도 각 운전자가 환경 영향을 고려하면서 운전하는 '에코 드라이브'가 주목을 받고 있다.
○ ‘에코 드라이브’의 실천에 의해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정보제공으로 지원되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시스템이 드라이브 매니저이다. 본고에서는 드라이브 매니저의 실질적인 운용을 통해 수집된 운전 데이터를 종합하여 운전방법과 연비관계를 검토하고, ‘에코 드라이브’를 실천함으로써 연비의 향상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저감에 유효성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 일본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운송 부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의 48%가 자가용 승용차에서, 35.5%가 화물 자동차에서 각각 배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가용 승용차와 화물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경감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저공해 차량을 보급하고 있어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대응에도 불구하고 2007년도 자가용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은 기준 연도보다 4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기대할 뿐만 아니라 각 운전자가 환경 영향을 고려하면서 운전하는 ‘에코 드라이브’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녹색성장위원회가 발족되어 2008년 1월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이 확정되었으며, 27개 중점기술을 녹색기술로 선정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 중에는 전지자동차 및 배터리의 연구 개발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개발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삭감이 적극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H. Hirabayash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62(3)
- 잡지명
- NEC 技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9~53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