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튬 이차전지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2015년까지, 독일의 메르켈 수상은 2020년까지 자국 내의 도로에 100만 대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자동차나 전기자동차를 주행시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 미국 정부는 100억 달러에 가까운 자금을 조성하고 환경친화형 자동차와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의 생산시설을 미국 내에 건설하는 기업을 지원하고 각종 세제 혜택을 주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LG화학/CPI와 Kokam/Dow도 이 자금을 지원받아 미국에서 관련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한편, 일본 정부는 2030년을 목표로 하여 대학/정부출연 연구기관/전지업체/소재업체/자동차업체 등의 40여 개 기관들이 참여하는 리튬/공기 이차전지 등의 혁신 개념의 새로운 축전장치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 이 보고서는 이탈리아 Roma 대학 Sapienza 연구소의 B. Scrosati와 J. Garche가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의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요약한 것으로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잘 보여주고 있다.

○ 현재 LiMn2O5/Li4T5O12 등을 전극소재로 사용하는 고용량 고출력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본격적인 양산체제가 구축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곧 실용화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고체고분자 연료전지는 고가의 촉매 대체물질을 찾아내지 못하여 고전하고 있다.

○ 또한 혁신적인 개념의 새로운 리튬 이차전지로서 기대를 받고 있는 리튬/공기나 Li/S 등의 이차전지는 실험실 규모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고체전해질 물질과 저가의 촉매를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저자
B. Scrosati, J. Garch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95
잡지명
Journal of Power 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419~2430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