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저탄소경제로의 전략적 전환촉진: 중국의 CCS로드맵
- 전문가 제언
-
○ 현재 세계적으로 화석에너지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자원고갈과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Asia Society는 미국-중국의 CCS에 관한 협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서 CCS에 관한 기술개발과 활용에 대한 양국의 장기적인 협력체계를 강조하고 있다. 보고서는 CCS로 인한 일자리 창출과 소비자의 편익에 관한 평가는 물론이고 에너지효율과 보존 및 신 재생에너지 등이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 미국과 중국은 CCS협력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3가지의 접근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기존의 중국 산업계에서 배출하는 CO2를 격리시키는데 협력하는 것이다. 둘째는 기존의 발전소 개조에 관한 연구개발투자이다. 셋째로는 CCS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기업들에게 재정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 동 보고서는 미국과 중국의 협력으로 인해 향후 5~10년까지 미국과 중국 내의 CCS보급을 한층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 중국에서 CCS보급 비용을 낮추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한 비용절감은 결국 양국의 소비자의 혜택으로 돌아갈 것이며 2020년까지 양국에서 CCS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가 적어도 43만개 이상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국제적인 양국 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저탄소경제를 향한 중국에서의 CCS전개는 점차 활성화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현재로서는 발전, 철강, 시멘트, 암모니아 및 메탄올 등이 CCS 전개의 가장 유력한 분야가 될 것이며 특히 석탄가스화 기술은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다만 CCS의 상용화에는 정치적인 강한 의지, 적절한 재정적 인센티브제공, 강력한 정책의 뒷받침과 규제 등이 필요하다. 중국은 이미 석탄가스화 기술에 큰 강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리더십을 가질 수가 있다. 지금부터 시작하려는 신규설비에는 항상 탄소포집 준비개념을 넣어 설계단계부터 차분히 진행하여야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는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큰 것이다.
- 저자
- Hengwei Liu et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38(1)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9~74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