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교반 용접한 경금속합금의 이음부의 피로
- 전문가 제언
-
○ 마찰교반접합(FSW: Friction Stir Welding)은 1991년에 영국의 TWI(The Welding Institute)에서 개발된 고상접합기술로서 공구를 회전시켜 접합시키고자 하는 판재에 접촉시켜 발생하는 마찰열로 연화된 재료를 소성 유동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 이 용접방법으로 접합된 이음부는 복잡한 미세조직이 형성된다. 이 조직은 안정성이 부족하여 용접 후 열처리로 결정립의 조대화나 하중의 반복으로 동적시효가 발생하기도 한다.
○ 마찰교반용접에서는 피로균열발생 위치가 부하하중의 크기에 따라 다르고 정적 인장강도로 피로강도를 예측하는 것은 곤란하며 반드시 실험적 방법을 권하고 있을 정도로 복잡한 피로거동이 발생하고 있다.
○ 미국과 일본 등 선진 국가들은 기초단계를 벗어나 용접기술의 적용범위를 넓히기 위해 여러 종류의 회전 툴의 개발과 로봇장치 등 응용기술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도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 그러나 국내의 마찰교반용접에 대한 연구개발은 아직 기초단계에 있으며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도 매우 적은 실정이다.
○ 마찰교반 용접기술은 가까운 장래에 자동차, 조선, 우주항공, 철도차량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에 필요한 핵심용접기술로서 연관 산업에 급속히 보급되고 폭넓게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향후 국내에서도 자동차, 항공과 같은 중화학 산업분야의 품질향상과 경쟁력 제고 향상을 위해서는 경금속분야 뿐만 아니라 철강분야에까지도 기술력을 높여 해외경쟁력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저자
- Uematsu Yoshihik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79(7)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90~594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