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과정평가를 적용하는 부지정화사업

전문가 제언
○ 효용가치가 높은 일부 도시지역이 독성물질로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용도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오염은 산업 활동 또는 기반시설에 기인하는 것으로 토양오염은 경과기간에 따라 오염범위가 확산되고 정화비용도 급격히 증가한다.

○ 토양오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류성분은 오염농도 또는 오염심도(depth)에 따라 토양경작(land farming), 생물학적 통풍(bioventing), 바이오슬러핑(bioslurping) 등과 같이 미생물로 처리하고 있다.

○ 그러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중금속과 잔류성 유기물질은 생태독성과 인체독성을 보유하지만 통상적인 처리방법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중금속은 방통사니과의 초본을 식재해서 장기간에 걸쳐 제거하는 방법이 발표되고 있지만 잔류성의 유기물질은 오존, 자외선(UV), 전자빔, TiO2 등 고도산화처리(AOP)에 의존하고 있다.

○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 과정평가(LCA)가 사용되고 있다. 즉 생산과정에서부터 폐기물 처리과정까지 소요되는 에너지는 물론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합산해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 이 원고에서는 토양오염 정화기술에 의한 환경영향을 LCA로써 평가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평가에서도 정화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중금속과 잔류성의 유기물질은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시하거나 발생 시기에 따라 적용인자를 다르게 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사업부지의 토양오염에 대한 검사기준을 명시하고 있지만 오염 여부에 따라 재산가치의 하락을 우려해서 자발적인 토양오염 검사가 실시되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토양오염에 대해서는 강제적인 규정과 함께 검사주기도 단축시켜야 하며 오염토양의 복원사업은 LCA기법을 도입해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저자
S.A. Morais, C. Delerue-Mato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75
잡지명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22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