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발포성형

전문가 제언
○ 현재 가장 많이 상품화된 발포성형은 PS 폴리머에 가스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한 PS Foam으로 건축자재, 완충제, 생선 및 야채 등의 유통 포장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PS 폴리머를 압출하면서 가스를 주입하여 제조한 Sheet를 진공 성형하여 컵라면의 용기 등 식품 용기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 PS는 폴리머 제조 시 잔존하는 Stylene Dimer, Stylene Trimer의 분자 구조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유사하여 내분기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er) 의심 물질로 분류되어 소비자 불안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래서 PP의 발포성형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고발포가 어려워 아직 대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 국내에서는 주로 자동차 업계에서 경량화를 목적으로 발포성형 기술의 개발, 개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또한 식품업계에서도 PS 발포 대체품으로 PP 등의 발포성형 기술을 검토하고 있고 곧 상용화가 기대된다.

○ CO2 배출 감축 및 지구환경 보전은 세계적인 명제이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PLA(Polylatic acid) 등 분해성 플라스틱 등의 개발과 함께 경량화 및 원료 절감 등 부가가치가 높은 발포성형 기술의 연구 개발도 국가 및 대기업체에서 주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 이 보고서는 2008년 발포성형에 관한 일본 내의 발표된 문헌 등을 검색하여 그 개발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시도를 하여보면 국내의 산업 추진 방향을 알 수 있고 관련 종사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저자
Yamada Takehi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21(7)
잡지명
成型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00~404
분석자
최*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