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석을 함유하는 시멘트 재료에 대한 황산염 침식
- 전문가 제언
-
○ 황산염은 해수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시멘트 수화물과 반응하여 팽창성 물질을 생성시켜 콘크리트를 침식하여 분열 박리 붕괴를 일으킨다. 토양, 물, 공장폐수 및 해수 중에 포함된 황산염에 대한 화학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C3A(Tricalcium Aluminate)의 양을 줄이고 저항성이 큰 C4AF(Tetracalcium Aluminoferrite)의 양을 높여야 한다. C4AF의 양을 높이면 수화작용은 비교적 빠르지만 강도가 저하된다. 콘크리트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최적 콘크리트의 배합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고밀도이며 불투과성인 콘크리트가 외부 황산염 침식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낮은 W/C 비(물/시멘트 비)와 적당한 압축, 균일성, 단단한 마무리 및 양호한 경화 등의 양호한 작업을 구비한 상대적으로 풍부한 배합물의 사용이 요구된다. 낮은 C3A 함유 시멘트는 황산염 내에서 알루미나 상 화합물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낮은 비율의 석회석 대신 황산이온의 접근을 제한하고 수화물의 안정성을 보호하는 낮은 W/C 비를 함유한 고밀도 콘크리트의 사용하여 황산염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주요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 콘크리트에서 석회석을 포함하는 많은 양의 미세 입자가 경화되지 않은 배합물 내에서 큰 입자의 중력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큰 체적의 석회석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멘트에 대한 추가적인 미세 재료로서 사용된다. 시멘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 내 많은 양의 석회석의 혼합이 내구성, 염화물 침투, 탄산화 작용, 황산염 저항성 및 내열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내구성, 내열성 등 요인에 따른 최적 석회석 혼합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C3A는 초기응결이 가장 빠르고 수축이 심하며 해수, 오수에 저항력이 적다. 시멘트의 응결지연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C3A와 석고의 첨가량이 서로 평형을 이루어 에트린자이트(ettringite)만을 생성하면 좋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E.F. Irassa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39
- 잡지명
-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41~254
- 분석자
- 이*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