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현대적 고분자를 위한 오랜 모델인 실크

전문가 제언
○ 실크는 뛰어난 특성과 심미적 기능으로 인류가 오랫동안 사용해 온 동물성 섬유다. 생산량은 적으나 고가의 제품으로 역사상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여러 물성 중 특히 촉감은 다른 섬유와 전혀 비교되지 않는다. 실크의 특성으로 인한 합성실크의 요구는 사뭇 자연스럽다고 하겠다.

○ 실크를 모방한 레이온이나, 개별 성능만 본뜬 기타 여러 재생, 합섬제품이 등장했으나, 실크 본질적인 성능을 재현하지 못했다. 그 결과 단백질을 원료로 한 실크 합성은 비교적 근래에 시작되었다.

○ 현재까지의 실크합성의 방향은 거미 드래그라인 구성 단백질의 합성에 초점이 맞추어진 느낌이다. 이 연구들은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박테리아, 식물 또는 양젖 등을 활용하고 있다. 각 연구기관들은 대량 생산이 가까운 장래에 이루어진다고 말하지만 실제 상황은 알기 어렵다.

○ 본고에서는 합성실크 제조에 대한 생물학자의 견해를 소개하고, 생물학과 화학의 종합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개진한다. 또 실크합성에서의 물질, 방사과정, 물성의 상호작용의 통찰을 당부하고 있다. 내용 중에서 알려지는 벌레들의 실크방사에 깃든 자연의 섭리에 숙연해지며, 고분자 개발을 위해 자연에서 많은 것을 배워야 함을 절감하게 된다.
저자
Fritz Vollrath, David Port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50
잡지명
Polymer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623~5632
분석자
문*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