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기술R&D팀에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공유와 집단응집성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대만의 기술R&D팀에 있어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공유와 집단응집성”을 주제로 하여 주요 논점, 문헌의 검토와 가설의 제시, 연구의 방법과 결과, 토의,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식공유와 집단응집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TMS(Transactive Memory System :교류적기억시스템)와 신뢰가 기술R&D팀에서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을 목적으로 하고, 지식공유와 집단응집성에 대한 연구모델과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 특히, 이 글에서 효과적인 R&D팀은 보다 나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지식공유와 집단응집성에 의존하고, 조직은 제품의 개발, 서비스의 향상을 위해 여러 유형의 협동과 특히 R&D팀에 의존한다는 점과 지식공유는 집단응집성을 제고시킬 수 있고, 집단응집성은 여러 연구에서 팀성과의 중요한 결정요인이고 집단의 전반적 사회통합의 필수적 구성요소로 여겨진다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지식공유는 개인에게 내재화된 다양한 지식을 학습조직과정이나 정보기술매체를 통하여 조직구성원들 상호간 지식으로 축적해가는 과정이며, 또한 조직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이 교환되는 활동으로서 필요한 적절한 지식을 탐색, 획득, 활용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 집단응집성은 유대감, 경험의 공유, 상호교류, 결속감, 융합/단결, 일체감, 단체정신, 소속감, 배려/수용 등의 내용을 내포하는 개념으로서 집단응집성이 높게 되면 집단의 목표를 수용하고, 달성하기 위해 집단구성원들간에 서로 협력하게 된다.
○ R&D수행자들은 지식공유과정을 통해 지식을 획득하게 될 때에 최상의 문제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고, 지식공유로 많은 정보가 집단구성원들에게 알려지게 될 때에 집단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집단응집성은 연구팀이 일치단결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역동적인 프로세스로서 팀성과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메타분석에서는 집단응집성과 팀성과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 저자
- Chi Cheng Hua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29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786~79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