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BSCCO 초전도성의 최적화와 보편 마디 들뜸

전문가 제언
○ 고온초전도체(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라고 불리는 구리산화물 초전도체가 발견된 지 20년이 넘었다. 그간 막대한 연구비와 수많은 과학기술자가 이 분야에서 노력하였으나 발견 초기에 기대했던 다양한 응용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 최소한 4개의 원소로 구성된 층상구조의 화합물인 HTS는 물리학과 같은 기초분야는 물론이고 재료, 전기 등 공학 분야에서도 악몽과 같은 물질이다. 액체질소온도(77K)보다 높은 임계온도(Tc)를 보여주지만 실용화에 필요한 임계전류는 원하는 만큼 높지 않다. 그밖에 여러 물성이 비등방성을 보인다.

○ 그동안 실험을 통하여 각종 성질이 알려졌다. 그러나 가장 기초적인 의문인 “HTS가 왜 높은 Tc를 가지는가?”에 대해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없다. 기본 메커니즘의 이해가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 Bi2Sr2CaCu2O8+δ(BSCCO)는 Tc가 90K이 넘는 대표적인 HTS 중의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원자 수준의 분해능을 가진 주사터널링현미경(STM)을 사용하여 에너지 간격을 측정하였다. 에너지 간격(energy gap)은 초전도체의 기본적인 특성 중의 하나로 Tc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 HTS는 d파 대칭을 가지므로 에너지 간격과 Tc의 관계가 BCS형 s파 저온초전도체의 경우처럼 간단하지 않다. 그렇더라도 이 논문에서는 마디(node)에서의 스펙트럼이 보편 곡선(universal curve)을 따르는 부분이 클수록 Tc가 높다는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BSCCO를 비롯한 모든 HTS는 비슷한 상태도(phase diagram)를 보이며 Mott 절연체에 정공(hole)을 도핑하면 초전도체로 된다. Tc가 가장 높은 최적도핑 상태는 실험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왜 그렇게 되는지를 알아야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이 논문의 결과는 HTS의 Tc와 도핑과의 관계를 이해에 도움이 되며 궁극적으로 HTS의 기본 메커니즘 규명에 기여할 것이다.
저자
Aakash Pushp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324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689~1693
분석자
박*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