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생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경제 및 환경 영향

전문가 제언
○ 제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당사국 총회(COP: Conference of the Parties under the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vention)가 기대와 우려 속에 덴마크 Copenhagen에서 12월 7일 개막되어 18일까지 계속된다.

○ 이번 회의에서는 2020년, 2050년까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얼마나 어떻게 줄일지 논의하고 있다. EU 등 선진국은 개도국을 포함해 모든 나라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금의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 이명박 대통령은 17일 현지 도착 후 각국 정상들을 상대로 기조연설을 하고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에 의하면 기조연설에서 이 대통령이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량 목표치를 발표하는 등 한국의 노력을 발표하고 개도국이 스스로 감축목표를 정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권고할 것이라고 한다.

○ 본고에서는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문헌에서 구한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성 지표의 범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들 지표들은 발전비용, 온실가스 배출 및 에너지 회수기간이다. 3종류의 파라미터는 각 기술별로 넓은 범위로 분포되었다.

○ 상이한 재생에너지원의 순위결정에 이들 재생에너지원에서 기인한 온실가스 배출, 에너지 회수기간 및 발전비용을 연계한 새로운 성능지수(Figure od Merit)를 사용하기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인도에서는 풍력과 소수력이 가장 지속가능한 전원임이 밝혀졌다.

○ 우리나라에서는 녹색성장을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우리의 국가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 삼을 수 있고 또한 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용 기자재를 수출산업화 하는 전략으로 육성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리라고 생각한다.
저자
Varu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716~272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