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서 플라이애시 이용성
- 전문가 제언
-
○ 석탄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고형 잔류물 플라이애시(fly ash)는 배기가스 탈황물질, 밑바닥 재, 보일러슬래그로 분류한다.
○ 플라이애시는 말 그대로 날아다니는 재라는 뜻으로 미세한 먼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플라이애시 입자는 작은 비정질(amorphous) 입자와 결정으로 채워진 기공성 구체이다. Cenospheres는 얇은 벽을 가진 구형 유리로서 물에 부유하여 플라이애시 물 처리 시 수면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 플라이애시 발생량의 약 1%는 cenosphere이고, 플라이애시에 비해 절연성, 경량성, 방음성, 정연성 등의 특성이 있어 페인트와 코팅 첨가제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이다.
○ 플라이애시를 콘크리트에 20∼30%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작업성이 개선되고 경화 열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강도 및 수밀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아예 시멘트에 플라이애시를 미리 혼합한 플라이애시 시멘트를 만들고 있다.
○ 과거에는 처리하기도 골치 아팠던 산업 폐기물인 플라이애시가 고부가가치를 가진 자원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단가가 급상승하고 중국 등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 이제 농업분야에서도 플라이애시가 유기 탄소 및 질소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기초식물양분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비료의 사용을 절감하고 토양침식을 안정시키며, 중금속의 흡수를 억제하고 이산화탄소 방출을 감소시키는 등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토양개량제, 비료, 작물병해충 방제 등의 농업자재로서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anisha Bas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9
- 잡지명
- Progress in Natural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73~1186
- 분석자
- 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