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의 해안평야에서 지하수 염수화 공정
- 전문가 제언
-
○ 염도(salinity)는 지하수에 용존한 염의 총량을 의미하고 각종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훌륭한 척도이다. 일반적인 지하수 염수화는 해안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해안지역 인근의 대수층에서 지하수 과잉양수에 의한 염수화, 수리지질학적(지형적) 특성에 의한 염수화,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에 의한 염수화 등을 들 수 있다.
○ 어느 지역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난 염도를 이해하기 위하여 지하수 시스템이 변화하는 재충전에 어떻게 반응하고, 증가된 재충전에 나타난 추가된 물이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일반적으로 지하수 시스템은 전 지역에 걸쳐 동일하지 않고 건조지역 염도에 기여에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지식부족은 염도관리의 국가적 견해를 취하는 능력을 한정시키고 옵션의 효율성도 제한적이다. 집수(catchment) 각각마다 유사한 자원집약적(resource intensive) 조사를 실시하는데 시간과 금전 면에서 실행이 가능하지 않다.
○ 이 논문은 염수화 공정의 증거를 제시하기 위해 수문화학과 동위원소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르헨티나의 Samboromb?n만에서 수문 공정을 조사했다. 수문 비율과 동위원소값을 조사한 결과, 해수가 지하수 자원에 기여도가 거의 없고, 지역 수압 증감이 전혀 없는 강우 재충전은 해안평야 저대수층에서 물이 오래 체재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 우리나라 해안지역의 염수화에 대한 문헌조사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화산암 지대인 제주도의 해안 대수층과 부산 서부해안 대수층에서 지화학과 동위원소법으로 지하수 염수화의 연구를 학회지에 2003년과 2007년 각각 발표했다. 지하수에 용존한 염의 총량을 의미하는 염도(salinity)는 각종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훌륭한 척도이다.
- 저자
- Eleonora Carol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365
- 잡지명
- Journal of Hydr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35~345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