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업용 로봇의 고기능화를 위한 최신 제어장치 동향

전문가 제언
○ 로봇 산업은 지식집약산업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이며, 궁극적으로 로봇 산업은 원천기술의 발전 없이는 성장할 수 없는 미래지향형 산업이다. 꾸준한 원천기술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며, 막대한 연구자금이 필요한 로봇기술의 속성상 위험부담의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지원이 절실한 분야중 하나이다.

○ 일본 Hitachi사는 공장에서 생산 물류의 고효율화를 실현하는 지능형 로지스틱 지원 로봇시스템(Lapi)을 개발하였고, Mitsubishi사는 Kyoto대학과 공동으로 생산기종변환 신속화와 장시간 연속 작업이 가능한 차세대 셀 생산을 실현하는 로봇 지능화 기술을 개발하였다.

○ 정부는 로봇 기업의 고비용 연구개발 및 생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로봇 산업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2010년까지 3년간 78억 원의 국가자금을 지원하여 대학 연구소 등 12개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차세대 로봇 공통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기업별로 독자적으로 개발해오던 로봇 플랫폼이 공통 플랫폼에 로봇 기업의 독창적 기술만 추가함으로써 개발비용을 50% 이상 축소할 수 있을 것이다.

○ 2009년 3월 국내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로봇 산업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에는 2013년 로봇 3대 강국으로 도약하고 2018년 로봇기술을 선도하는 비전과 발전전략을 담고 있다. 향후 5년간 1조원을 투자하여 2013년까지 국내 로봇시장을 4조 원 규모로 성장시키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13%까지 확대해 나가게 된다.

○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일본의 산업기술총합연구소(AIST)는 양국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로봇 응용소프트에어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로봇 소프트웨어 국제표준을 채택하기 위하여 로봇 소프트웨어 협력 양해각서를 교환하였다. 이를 계기로 우리 기업이 타국 기업에 비해 경쟁우위에 서서 일본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일본 로봇 기술을 도입하여 국내 기술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ishib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53(7)
잡지명
機械設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60~64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