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기성 소화의 포밍
- 전문가 제언
-
○ 본 문은 혐기성 소화기의 포밍 발생원인을 규명한 것으로서, 포밍현상을 설계 및 조업상의 인자와 연계시켜 여러 가지 원인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필라멘트 미생물 총고체 g당 0.05 내지 0.18g의 Gordonia에서 심각한 폼형성이 있었다. 온도는 35℃에서 30℃로 낮추고 다시 32℃로 올리면 바이오가스 수율에 영향을 미친다. 유기물 부하는 최저 0.7 kg/m3.d에서 최고 7.2kg/m3.d로 크게 변한다. 이 범위 안에 들지만 4.5kg/m3.d 이상이 되면 폼을 형성한다.
○ 혐기성 폐수처리공정은 부유성장식 공정과 부착성장식 공정이 있는데, 부유성장식에는 혐기성 소화, 혐기성접촉, 상향류식, 혐기성 슬러지 블랭킷, 혐기성지가 있고, 부착성장식에는 혐기성 고정상, 혐기성 팽창상, 혐기성 유동상이 있다. 혐기성소화는 고율혐기성 소화 및 이상(二相)혐기성 소화 등이 있고 고농도 유기성 폐수에 적용 가능하다.
○ 벌킹과 포밍은 2차침전조에서 부유물질이 많이 쌓여 처리수의 수질을 악화시키고, 포밍은 표면에서 스컴(떠있는 찌꺼기)이 증대하는 것이고 그 원인은 필라멘트박테리아 또는 유기물질의 불충분한 분해로 표면활성화 물질의 발생과 불충분한 혼합, 불충분한 산화환원 잠재력, 과잉부유 고형물질로 인하여 스컴이 많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 폐수의 포밍은 가스 거품, 액체 및 고체입자로 된 3-상으로 되고, 이 3상 기질은 포밍 개시물과 안정화 물질이 있어야 된다. 포밍을 개시하고 안정화하는 물질의 후보물질은 AD계에서 확인되었지만, 그 최적 농도는 아직 미지이므로,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를 보다 더 활발히 진행하여 폐수처리 공장의 효율을 높여 최적 농도를 되도록 많이 확보하여야 하겠다.
- 저자
- Nafsika Ganidi, Sean Tyrrel, Elise Cartmel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00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546~5554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