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삼림경영을 위한 통괄적 자원관리의 필요성
- 전문가 제언
-
○ 식물은 공기 중에서 탄산가스(CO2)를 흡수하고, 토양 중에서 질소와 물을 빨아올린다. 또한 태양광선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여 성장하게 된다. 즉 삼림의 수목은 공기 중의 CO2를 삭감하고 산소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여 근래의 글로벌이슈로 등장한 지구온난화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삼림은 목재자원으로도 효용성 이외에 수원 함양 기능과 토사유출 방지기능, 대기정화 기능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혜택을 인류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촌 도처에서 삼림자원의 남벌로 인하여 삼림 감소가 인류의 장래를 위협하고 있어 국제적인 공조에 의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는 산림면적이 전체 국토면적의 65%를 차지하는 산림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목재 수요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의 한 전문기관의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향후 50년간 목재 수요의 약 50% 정도만 자급할 수 있을 정도로 목재자원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와 있다. 따라서 목재자원 부족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 삼림자원의 적정 수종의 대체와 해외 조림투자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도시의 재개발이 성행함에 따라 폐목재량이 증가하고 있다. 목재자원의 재활용은 삼림 벌채량을 삭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MDF와 같은 합판보드의 수요가 늘어나는 현실에서 이를 적극 활용하면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호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사료된다.
○ 환경보호를 중시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캐나다의 삼림관리는 본 보고에서 잘 파악되고 있다. 즉 한 가지 예로 삼림 벌채 시에 본래의 식물의 천이진행 자체를 손상하지 않도록 입목을 벌채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의 유지 및 향상을 독려하는 것은 우리가 본받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Naotaka h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91
- 잡지명
- 日本森林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12~222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