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용도와 동향
- 전문가 제언
-
○ 대표적인 PC(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를 원료로 한 것이다. 결정성이 낮아 투명하고 치수안정성 양호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투명성을 활용한 광 디스플레이 기판, 광학섬유, 렌즈 등의 광학재료로의 응용을 시작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건축자재, 자동차 등에도 사용된다. 다른 플라스틱과 비교적 상용성이 좋기 때문에 고분자 얼로이 성분으로 사용되어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으로 응용되고 있다.
○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의 삭감 노력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화학제품 가운데 고분자의 수요는 아주 크다. 최근 이산화탄소와 에틸렌옥사이드 화합물로부터 합성된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수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에너지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비한다면 그 양은 적을지라도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한 범용고분자가 쉽게 제조되어 보급된다면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의 하나가 될 것이다.
○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하는 비포스겐법 PC 제조 프로세스는 고수율?고선택률로 제조되는 각 공정의 중간 생성물을 다음 공정 혹은 앞 단계 공정의 원료로서 순환 재사용함으로써 자원 절감?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스 폐수나 폐기물이 없어 환경적으로 우수한 혁신 프로세스이다.
○ 이산화탄소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시클로헥센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와 반응하여 알킬렌카보네이트 수지를 생성한다. 기본 기술은 40년 전 일본의 Inoue 등에 의해 발견되었다. 현재 이미 중국에서는 공업 생산이 개시되고 있다. 향후 폴리프로필렌 합성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고활성 지글러-나타 촉매나 폴리에틸렌 합성에 사용되는 메탈로센과 같은 고활성 촉매의 개발과 다른 고분자와의 복합기술이 요망된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분리, 농축 기술이 필요하다.
○ IT의 발전과 함께 방향족 PC의 사용량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방족 PC는 생체재료 고분자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하는 PC 공중합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에 대한 물리?화학적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 저자
- Matsu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57(11)
- 잡지명
- JETI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8~132
- 분석자
- 이*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