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의 수은오염 현황
- 전문가 제언
-
○ 수은(Hg)은 대기 중에 0.5~2년까지 체류하며, 발생원으로부터 1,000km까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메칠 수은(Me-Hg)으로 전환되면서 먹이연쇄과정을 통하여 어류에 축적되고 최종적으로 사람에게 섭취되어 인체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한 물질이다.
○ 자연계로부터 배출되는 수은과 인간 활동으로 인하여 인위적으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수은은 연간 1,800~5,800톤으로 추정되며 이미 자연계에 축적되어 있는 것이 재방출되고 있는 것이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 수은의 거동에 대한 제어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자연계에 노출된 수은이 공기, 물, 토양 등의 매체를 통하여 계속하여 순환되기 때문이다. 이 순환의 고리를 끊고 제어하는 것이 더 이상의 수은을 자연환경에 확산시키지 않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 아시아지역에서 배출된 수은의 양은 2000년 기준으로 지구 전체 배출량의 54%인 1,179tons에 달하고 있다고 하며, 이 중에서 중국은 28%에 해당하는 600톤 이상의 수은을 배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수은 배출원은 화학 산업공장, 수은광산, 금광산이지만, 최근 수십 년간에 걸쳐 수은배출시설의 폐쇄나 수은을 배출하지 않는 시설로의 전환을 통하여 화학 산업에서 배출되는 수은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 국제공업개발기구(UNIDO)는 수은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아시아 지역에 새로운 공법을 소개하고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리고 선진국들도 아시아 지역의 환경오염에 대하여 기술과 재정적으로 도와서 지구환경을 지키는 일에 적극 나서야 된다고 생각한다.
○ 아시아지역에 있는 국가들도 경제발전보다는 수은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제 지구환경문제를 선진국 탓으로 돌리거나 자국의 이익에 우선하여 대처한다면 지구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에 봉착하여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우리 모두 지구환경을 지키는 일에 앞장서야 한다.
- 저자
- P. Li, X.B. Feng, G.L. Qiu, L.H. Shang, Z.G. L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68
- 잡지명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91~601
- 분석자
- 변*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