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위원소로 실리콘나노와이어 합성과 라만스펙트럼의 획득
- 전문가 제언
-
○ 실리콘나노와이어는 현재 소형화 추세의 한계점에 달하고 있는 실리콘반도체 기술을 대체할 가능성 때문에 관심의 초점이 되어 세계적으로 경쟁적 연구가 추진되고 있는 분야이며 바이오 분야에도 혁신적으로 기여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 실리콘나노와이어는 탄소나노튜브와 쌍벽을 이루면서 NT 기술개발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개발추진이 일천하여 기초연구와 응용연구가 병행 추진되고 있으며 현재의 수준은 나노와이어의 합성기술은 거의 확립된 상태이고, 만들어진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소자를 조립하고 그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까지 진전된 상태로 개발 속도가 상당히 급진전하고 있다.
○ 특히 연구개발 추진의 기본 토대인 기초 물성 자료 획득이, 단일 동위원소 단결정 실리콘나노와이어 이용 방법으로 한 단계 진보하게 되어 앞으로 실리콘나노와이어 연구 활동이 한층 더 활성화될 것이 기대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과 KIST, KAIST, 포항공대 등 다수의 연구기관에서 실리콘나노와이어를 연구하고 있어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실리콘나노와이어 분야의 연구 추진이 세계적으로 일천한 점을 감안하면 우리가 원천기술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생각된다.
- 저자
- Oussama Moutanabbir, Stephan Senz, Zhang Zhang, Ulrich Gosel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4
- 잡지명
- Nano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93~398
- 분석자
- 강*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