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홈 네트워크 표준의 분류

전문가 제언
○ 홈 네트워크란 가정 내에서 정보가전 기기들이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하며, 초기에는 기기 간의 콘텐츠 이동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IT 기술의 융복합화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외부의 인터넷망과 접속하기 위해서는 홈 게이트웨이(또는 홈서버)가 필요하다.

○ 홈 네트워크 관련 기술들이 오래 전부터 많이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통합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만큼 생활에 편리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나오지 않고 있어 일반 가정에서의 홈 네트워크 구현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 본고에서는 홈 네트워크에 관련된 수많은 기술들을 기본 특징과 기술 간 융복합화에 따라 새로운 분류법을 제시하였으며, 왜 아직까지 보편타당한 표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분석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홈 네트워크 기술의 분류방법 및 분류표는 새로운 홈 네트워크 제품을 개발하려는 업체나 표준을 만드는 기관들에게는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결정하는 데 귀중한 나침반이 될 것이다.

○ 향후 홈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기 위하여서는 한 가지 기술만 사용하여 서비스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표준을 제정하는 기관과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 협력하여 통합 표준(정보, 가전, 통신, 홈오토메이션의 통합)을 만들어 관련 제품들(디지털 정보/가전/통신 제품)에 기본기능으로 탑재되어 언제라도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사용자가 유용함을 느낄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 발굴이 중요하며 특히 엔터테인먼트, 생활보안/정보, 콘텐츠 공유/이동 관련 서비스는 필수 기능이 될 것이며, 이러한 기능들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셋톱박스가 홈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세계 홈 네트워크 시장은 2010년에 1,620억 달러로 예상하고 있으며, 국내 홈 네트워크 시장은 2020년에 약 7조 원대로 전망하고 있다.
저자
Geerten van de Kaa, Frank den Hartog, Henk J. de Vri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31
잡지명
Computer Standards & Interfa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175~1181
분석자
이*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